티스토리 뷰
목차
최근 소아과, 어린이집 등에서 성홍열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이름은 낯설지만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서 부모님들이 특히 많이 헷갈리시는 질환입니다.
오늘은 성홍열 증상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감기와 헷갈리는 이유부터 특징적인 증상, 진행 과정까지 한눈에 살펴보세요!
1. 성홍열 증상, 감기랑 왜 헷갈릴까?
성홍열은 초기에 열이 나고 목이 아픈 증상으로 시작하기 때문에 흔히 감기로 착각하기 쉽습니다.
특히 아이들이 단체생활을 하다 보면 감기 바이러스를 자주 옮기기 때문에 부모님들도 처음에는 감기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성홍열은 단순 감기와 달리 세균 감염이 원인이며, 치료하지 않으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어 빠르게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성홍열 증상 3가지
① 고열과 초기 증상
성홍열의 첫 번째 특징은 갑작스러운 고열입니다.
- 체온이 38~40도까지 올라가며 잘 떨어지지 않습니다.
- 목이 아파서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침 삼키는 것도 힘들어합니다.
- 아이가 무기력해지고, 식욕이 떨어지거나 어지럽다고 호소하기도 합니다.
이 시점에서는 감기와 크게 구분되지 않아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② 딸기혀와 입 주위 창백
성홍열을 대표하는 증상 중 하나가 바로 딸기혀입니다.
- 초기에는 흰 막이 덮여 흰 딸기혀처럼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벗겨지며 붉은 돌기가 도드라진 붉은 딸기혀로 변합니다.
- 얼굴은 붉은데 입 주위만 창백하게 남는 입 주위 창백 현상도 성홍열의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징적인 증상이 보이면 감기와 구분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됩니다.
③ 좁쌀 발진과 피부 변화
성홍열은 발진이 나타나는 질환이기도 합니다.
- 피부에 좁쌀처럼 오돌토돌한 발진이 생기며, 촉감이 사포처럼 거칠게 느껴집니다.
- 주로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 부위에서 시작해 몸 전체로 퍼질 수 있습니다.
- 회복기에 접어들면 손끝이나 발끝, 손바닥에서 피부가 벗겨지는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3. 성홍열과 감기 비교
4. 성홍열 증상이 나타나는 순서
성홍열은 증상이 일정한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 잠복기: 대략 2~5일
- 초기 증상: 고열, 목통증, 무기력
- 발진 발생: 좁쌀 발진, 사포 같은 촉감
- 딸기혀 변화: 흰 딸기혀에서 붉은 딸기혀
- 회복기: 열이 내린 뒤 손과 발 끝의 껍질이 벗겨질 수 있음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해도, 딸기혀와 발진이 나타나면 성홍열을 의심해보셔야 합니다.
5. 성홍열 의심된다면?
성홍열은 세균 감염이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 소아과에서 목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신속항원검사나 세균배양검사를 진행합니다.
- 진단 후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증상이 좋아졌다고 임의로 약을 중단하면 안 됩니다.
- 집에서는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하며, 고열이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다시 방문해야 합니다.
글을 마치며
성홍열은 빠르게 대처하면 치료가 잘 되는 병이지만,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놓치기 쉽습니다.
딸기혀나 발진이 보이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으시길 권합니다.
성홍열은 A군 연쇄상구균 감염으로 생기는 급성 발열성 질환입니다.
감기와 초기 증상이 비슷하지만, 딸기혀, 좁쌀 발진, 입 주위 창백 등이 특징적입니다.
초기에는 38~40도 고열, 목 통증, 무기력 증상이 나타납니다.
딸기혀는 처음엔 흰 막이 덮여 있다가 시간이 지나면 붉게 변합니다.
좁쌀 발진은 목, 겨드랑이, 사타구니에서 시작해 전신으로 퍼질 수 있습니다.
회복기에 손끝, 발끝 피부가 벗겨질 수 있습니다.
감기와 달리 성홍열은 세균 감염으로 치료에 항생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방치하면 류머티즘열, 신장염 등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딸기혀나 발진이 보이면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생생정보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도시가스 캐시백 신청 방법 총정리 (1) | 2025.06.27 |
---|---|
시서스 다이어트에 진짜 효과 있을까? (2) | 2025.06.24 |
코큐텐 복용법과 주의사항 – 하루 몇 mg 먹어야 할까? (2) | 2025.06.20 |
이팝나무의 모든 것 (1) | 2025.06.17 |
성조숙증 검사 항목과 진단까지 한번에 정리 (0) | 2025.06.15 |